원형과 집단 무의식

디지털 아카이브
한 주간의 몽골뉴스와 몽골연구소 학술자료를 제공합니다.

디지털 라이브러리

 
한국서적
원형과 집단 무의식
2025.05.13 04:16

694ad20f20f4081cbc97fd7de5426392_1747120528_4957.jpeg

 도서명(원문)

원형과 집단 무의식

 도서명(국문)

원형과 집단 무의식

 도서명(영문명)

 The Archetypes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

 도서명(라틴자 전사)

 -

 언어

 한국어

 저자

 칼 구스타프 융

 출판사

 부글북스

 출판지

 서울

 출판년도

 2024년

 자료유형

 인문

 주제

  인문, 심리학

 소장기호

 185

 ISBN

 9791159201639

 키워드

 심리학

 원문목차


 국문목차


1장 집단 무의식의 원형들


2장 집단 무의식의 개념


3장 아니마 개념과 특별한 관계가 있는 원형들에 대하여


4장 어머니 원형의 심리학적 양상들


5장 부활에 대하여


6장 어린이 원형의 심리학 


7장 코레의 심리학적 양상들


8장 동화 속의 영()의 형상화 


9장 장난꾸러기 요정 형상의 심리학


10장 의식, 무의식, 그리고 개성화


11장 개성화 과정에 관한 연구


12장 만다라 상징체계에 대하여


인명 찾기


 간략 해제

이 책에서 프 칼 융 심리학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인 원형과 집단 무의식을 다루고 있다. 이 두 개념은 인간의 의식적 삶의 미스터리를 푸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융에 따르면, 인간의 의식은 의식적으로도 존재하고 무의식적으로도 존재하며, 인간 존재의 무의식적 측멱은 누구에게나 공통적이다. 바로 이 무의식이 집단 무의식이다. 프로이트가 말하는 무의식과는 다른 개념이다. 칼 융은 억눌러지거나 망각된 의식을 일컫는 프로이트의 무의식을 개인 무의식이라고 부른다.
역사적으로 보면, 사람들은 문화가 다르고 나라가 다르고 시대가 달라도 거의 비슷한 무의식적 충동이나 욕망을 표현해 왔다. 이것을 바탕으로 칼 융은 인간의 정신 깊은 곳에 공통적인 요소가 존재한다고 추론했다. 이 비슷한 요소들을 칼 융은 원형이라고 부른다. 대표적인 원형을 꼽는다면 페르소나와 그림자, 아니마와 아니무스, 영웅, 노인 현자, 자기(self) 등이 있다. 이 중에서는 자기는 종종 충돌을 빚는 의식과 무의식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고 완전성을 이루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 경향을 칼 융의 심리학에서 개성화 과정이라고 부른다. 
칼 융은 이 원형들이 주로 개인의 꿈을 통해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그렇기 때문에 꿈들에 나타나는 구체적인 상징들은 보편적이다. 말하자면, 동일한 상징은 인종을 불문하고 비슷한 의미를 지닌다는 뜻이다. 그와 동시에 꿈은 매우 개인적이기도 하다는 것이 칼 융의 지론이다. 그래서 꿈 해석은 그 꿈을 꾼 개인에 관한 정보를 많이 요구한다. 융은 꿈들이 우리의 정신 중에서 의식적으로 발달이 덜 된 부분을 보완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꿈을 연구하면 정신적인 문제를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고 한다.